1. Intro
이번주는 파이널 프로젝트 8주차이다. 이젠 정말 모든게 끝이 났고, 월요일날 최종 발표만 하면 수료를 한다. 할 말은 나중으로 미뤄두고, 우선 내가 만들었던 관리자 페이지의 기능들을 말해 보겠다.
2. 내가 맡은 관리자 페이지 기능들
홈 화면
- 최근 채팅 5개, 최근 수집한 뉴스 데이터 5개를 조회 가능하다.
- 지난 1주일동안의 채팅 수 변화, 가입자 수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 가능하다.
DB 관리
- DB 관리 페이지를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Storage/Vector DB/S3로 구분해서 조회 가능하다.
PostgreSQL
- Storage 탭에선 PostgreSQL 테이블인 ‘News’, ‘Repo_analysis’를 조회 가능하다.
- ‘News’ 테이블에는 AWS Lambda에서 매일 수집하는 뉴스 데이터가 있다.
- ‘repo_analysis’ 테이블에는 사용자가 연동한 github repository를 조회 가능하다.
Pinecone DB
- Vector DB 탭에서는 Pinecone DB의 인덱스들을 조회 가능하다.
- [인덱스 추가]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값을 모두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인덱스가 추가된다.
- 다음과 같이 test1 인덱스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 [인덱스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인덱스명을 입력한 뒤 [삭제] 버튼을 누르면 인덱스가 삭제된다.
- Pinecone DB는 인덱스 > 네임스페이스 > 임베딩 문서들이 존재한다.
- 먼저 인덱스명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해당 인덱스의 네임스페이스들이 보여진다.
- 그리고 해당 네임스페이스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임베딩된 문서들을 볼 수 있다.
s3
- s3 버킷을 조회할 수 있게 탐색기처럼 만들어 보았다.
- 폴더는 📂로 파일은 📜로 표시하였고, 경로가 화면에 표시된다.
- 여기서 [홈] 버튼은 맨 처음 디렉토리로 돌아가고, [뒤로가기] 버튼은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채팅 로그
- 모든 세션 목록을 조회 가능하다.
- 세션을 클릭하면 해당 세션에 어떤 메시지가 오고 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 [툴 호출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실제로 어떤식으로 툴이 어떻게 호출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 관리
- 모든 사용자 목록을 조회 가능하다.
- [계정 추가]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값을 모두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계정이 추가된다.
- [계정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이메일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계정이 삭제된다.
- [다중 계정 추가]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csv파일을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누른다.
- csv파일은 다음과 같이 name, id, authority, department 컬럼만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파일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가 뜬다.
- ‘…개의 데이터 중 …개의 계정 생성 완료!’라는 메시지가 보여지면서
- 다음과 같이 10명이 한번에 계정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 [다중 계정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해당 화면이 나타나고, csv파일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누른다.
- csv파일은 다음과 같이 email 컬럼만 존재해야 한다. 아니라면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 ‘…개의 계정 중 …개의 계정 삭제 완료!’라는 메시지가 보여지면서
- 다음과 같이 10명의 계정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마지막으로...
4주 차 회고에도 나와있듯이 작년 12월의 나는 꽤 고민이 많았다. 학교를 휴학을 하고 내가 사람임을 입증하기 위해 기사 자격증은 따놨지만 'AI를 어떻게 배우지?'라는 고민은 계속 존재했고, 그 고민 끝에 이 부트캠프까지 오게되었다.
주변에서 부트캠프에 대해 아는 사람이 별로 없었고, 6개월이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꽤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내 자신을 되돌아보니 나는 이런 기회가 아니면 무언가를 스스로 찾아내고, 공부할 사람이 아니라는걸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26주라는 시간을 정말 열심히 다녔다. 무언가를 이렇게 열심히 타이핑하고, 블로그에 정리한 건 이번에 처음이였다. 대학교도 이렇게 열심히는 안다녔던 것 같은데 말이다.
남은 휴학 6개월이란 시간을 이 곳에 헌신한 것에 대해 나는 전혀 후회가 없다. 수업 내용도 마음에 들었고, 무엇보다 사람들이 마음에 들었다. 강사님, 멘토님, 매니저님들, 그리고 최종 프로젝트를 같이한 팀원들 모두 친절하고 좋았다. 그래서인지 이제 끝난다고 생각하니 후련하면서도 약간 먹먹하고 허전하다.
부트캠프는 여기서 끝이지만 할 일은 아직 많이 남아있다. 자격증도 하나 더 딸 생각이고, 학교도 복학해야 되고, 토익도 해야된다. 하지만 예전보다 마음이 가벼워졌다. 어떤 것을 도전하던 부트캠프 6개월보다는 더 힘들지는 않을테니까 ⛷️
끝으로 강사님, 매니저님들, 멘토님, 그리고 팀원들 모두 정말 고맙습니다 👏👏
'부트캠프 > SK Networks AI Camp 10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0기] 25주차 회고 (1) | 2025.07.03 |
---|---|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0기] 24주차 회고 (0) | 2025.06.23 |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0기] 23주차 회고 (0) | 2025.06.16 |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0기] 22주차 회고 (1) | 2025.06.10 |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10기] 21주차 회고 (1) | 2025.06.02 |